웅 공부방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
최대우도법 1

MLE(Maximum Likelihood Estimation)란? - 웅 공부방

Situation OverviewMLE에 대해 이해하기에 앞서 먼저 주어진 상황과 notation을 이해해 보자. 먼저 Figure 1의 왼쪽을 보면 $\mathbf {x}_{i} \sim P_{data}$ 표시가 있는데, $\mathbf {x}_{i}$는 우리가 가지고 있는 training data이다. 만약 강아지 사진을 1000장 가지고 있으면 n = 1000이 된다. 총데이터를 한 번에 dataset $D=\{\mathbf{x}_{1}, \dots\, , \mathbf {x}_{n}\}$ 또는 $D=\{\mathbf{x}^{(1)}, \dots\, ,\mathbf {x}^{(n)}\}$로 표시한다. $P_{data}$는 우리가 가지고 있는 데이터가 따르는 true distribution이며, 우..

카테고리 없음 2025.01.05
이전
1
다음
더보기
프로필사진

웅 공부방

  • 분류 전체보기 (3)
    • Generative AI (2)

Tag

score function, fce, energy-based models, Monte Carlo, 최대우도법, mh-mcmc, score matching, MLE, fisher divergence, 딥러닝, ebms, flow constrastive estimation, unadjusted langevin mcmc, NCE, kl-divergence, contrastive divergence, ebm, noise constrastive estimation,

최근글과 인기글

  • 최근글
  • 인기글

최근댓글

Copyright © Kakao Corp. All rights reserved.

티스토리툴바